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
7.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회복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20. 1. 5. 00:08
목차 1. 트랜잭션 2. 동시성 제어 3. 트랜잭션 고립 수준 4. 회복 01. 트랜잭션 1. 트랜잭션의 개념 2. 트랜잭션의 성질 3. 트랜잭션과 DBMS 1.1 트랜잭션 트랜잭션(transaction): DBMS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을 정의하는 이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다룰 때 장애가 일어날 때 데이터를 복수하는 작업의 단위가 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다룰 때 이 작업을 서로 분리하는 단위가 된다. 트랜잭션은 전체가 수행되거나 또는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들어 은행 업무를 보는데 A계좌 (박지성)에게 B계좌(김연아)로 10000원을 이체할 경우 트랜잭션 수행 과정 1. A 계좌(박지성)의 값을 하드디스크(데이터..
-
6. 정규화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20. 1. 3. 17:16
목차 1. 이상현상 2. 함수 종속성 3. 정규화 01. 이상현상 1. 이상현상의 개념 2. 이상현상의 예 1.1 이상현상의 개념 잘못 설계된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이상현상(anomaly)을 일으킬까? 삭제이상(deletion anomaly) 튜플 삭제 시 같이 저장된 다른 정보까지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현상 -> 연쇄삭제(triggered deletion)문제 발생 삽입이상(insertion anomaly) 튜플 삽입 시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값이 없어 NULL값을 입력해야 하는 현상-> NULL값 문제 발생 수정이상(update anomaly) 튜플 수정 시 중복된 데이터의 일부만 수정되어 데이터의 불일치 문제가 일어나는 현상 -> 불일치(inconsistency)문제 발생 1.2 이상현상의 예 1.2...
-
5. 데이터 모델링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20. 1. 2. 16:44
목차 1.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 2. ER 모델 3. ER 모델을 관계 데이터 모델로 사상 4. ERwin 실습 5. 모델링 연습(마당대학 데이터베이스) 01.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 1.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 2. 데이터 모델링 과정 현실에서의 어떠한 주제에 대한 개념들에 대해 관계를 따지고 정보 모델링(ER 다이어그램)을 통해 개념적 모델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논리적 모델을 만들고 DB로 구현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DB는 실제 현실에서의 개념과 관계라던지 구조가 모두 일치해야 한다. 1.1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 데이터베이스는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후 설계 - 구현 - 운영 -감시 및 개선의 한 사이클을 가지며 감시 및 개선을 통해 다시 새롭게 재정된 요구사항..
-
4. SQL 고급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20. 1. 1. 23:29
목차 1. 내장함수 2. 부속질의 3. 뷰 4. 인덱스 01. 내장함수 1.SQL 내장 함수 2.NULL 값 처리 3.ROWNUM 01. 내장함수 SQL에서는 함수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수학의 함수와 마찬가지로 특정 값이나 열의 값을 입력받아 그 값을 계산하여 결과 값을 돌려준다. SQL의 함수는 DBMS가 제공하는 내장함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만드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나뉜다. 1.1 SQL 내장 함수 SQL 내장 함수는 상수나 속성 이름을 입력 값으로 받아 단일 값을 결과로 반환한다. 모든 내장 함수는 최초에 선언될 때 유효한 입력 값을 받아야 한다. 1.1.1 숫자 함수 1.1.2 문자 함수 1.2 NULL 값 처리 NULL 값이란? 아직 지정되지 않은 값 NULL 값은 '0', " (빈 문..
-
3. SQL 기초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20. 1. 1. 18:06
목차 1. SQL 학습을 위한 준비 2. SQL 개요 3. 데이터 조작어 - 검색 4. 데이터 정의어 5. 데이터 조작어 - 삽입, 수정, 삭제 01. SQL 학습을 위한 준비 02. SQL 개요 SQL 기능에 따른 분류 데이터 정의어(DDL): 테이블이나 관계의 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며 CREATE, ALTER DROP 문이 있음 데이터 조작어(DML): 테이블에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데 사용하며 SELECT, INSERT, DELETE, UPDATE 문 등이 있음. 여기서 SELECT 문은 특별히 질의어(query)라고 함. 데이터 제어어(DCL): 데이터의 사용 권한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며 GRANT, REVOKE 문 등이 있음. 03. 데이터 조작어 - 검색 1. SELECT..
-
2. 관계 데이터 모델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19. 12. 31. 18:30
목차 1. 관계 데이터 모델의 개념 2. 무결성 제약조건 3. 관계대수 01. 관계 데이터 모델의 개념 1. 릴레이션 2. 릴레이션 스키마와 인스턴스 3. 릴레이션의 특징 1.1 릴레이션 릴레이션: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첫 번째 행 (1, 축구의 역사, 굿스포츠, 7000)의 경우 네 개의 집합에서 각각 원소 한 개씩 선택하여 만들어진것으로 이 원소들이 관계를 맺고 있다. 관계(relationship) 릴레이션 내에서 생성되는 관계: 릴레이션 내 데이터들의 관계 릴레이션 간에 생성되는 관계: 릴레이션 간의 관계 1.2 릴레이션 스키마와 인스턴스 스키마의 요소 속성(attribute): 릴레이션 스키마의 열 도메인(domain): 각각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 (예를들면 속성이 길이면 속성..
-
1. 데이터 베이스 개요전공공부/데이터베이스 2019. 12. 29. 17:32
목차 1.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3. 파일 시스템과 DBMS 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01.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데이터, 정보, 지식 데이터: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실제 값 정보: 데이터를 가공한 것 지식: 정보들을 통해 이끌어낸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 2. 일상생활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것. 데이터 베이스의 활용 분야 종류 특징 생활과 문화 •기상정보 : 날씨 정보를 제공 •교통정보 :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 •문화예술정보 : 공연이나 인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 비즈니스 •금융정보 : 금융, 증권, 신용에 관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