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
7. 마이크로 프로그램된 제어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8. 14:17
목차 1. 제어 메모리 2. 주소 시퀀싱 3.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예 4. 제어 장치의 설계 7.1 제어 메모리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인 중앙 처리 장치인 CPU는 산술논리 연산장치라는 (ALU), 제어 장치 (CU),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레지스터 집합은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중간 데이터를 보관하고, 산술 논리 장치 (ALU)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연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레지스터 사이의 정보 전송을 감시하거나 ALU에서 수행할 동작을 지시한다. 이 장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어떤 연산을 수행하고 어떤 레지스터에 저장할지 제어를 하는 제어장치(Control unit)에 대해 다룬다고 할 수 있다. 이 제어장치는 Hard-wired 된 방법과 micro pro..
-
6. 기본 컴퓨터 프로그래밍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6. 14:43
목차 1. 개요 2. 기계어 3, 어셈블리 언어 4. 어셈블러 5. 프로그램 루프 6. 산술 및 논리 연산의 프로그래밍 7. 서브루틴 8. 입출력 프로그래밍 6.1 개요 전체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데 하드웨어란 컴퓨터 실체 요소들과 관련된 장치들을 의미하고,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위해 쓰여진 프로그램들을 말한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은 일련의 기계 명령어를 직접 간접적으로 기술하는 것인데, 컴퓨터 내부의 기게어는 이진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영자숫자 형태의 기호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따라서 사용자 위주로 쓰여진 기호 프로그램을 하드웨어가 인지할 수 있는 이진 프로그램으로 옮길 필요가 있다. 이 장에서는 기본 프로그래밍 개념과 명령의 ..
-
5. 기본 컴퓨터의 구조와 설계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5. 20:59
목차 1. 명령어 코드 2. 컴퓨터 레지스터 3. 컴퓨터 명령어 4. 타이밍과 제어 5. 명령어 사이클 6. 메모리 참조 명령어 7. 입출력과 인터럽트 8. 컴퓨터에 대한 완전한 기술 9. 기본 컴퓨터의 설계 10. 누산기 논리의 설계 5.1 명령어 코드 이 장에서는 레지스터 전송문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본 컴퓨터의 각 연산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 컴퓨터의 구조는 내부 레지스터, 타이밍과 제어구조, 명령어 집합에 의해서 정의된다. 디지털 시스템의 내부 조직은 레지스터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수행되는 마이크로 연산의 시퀀스에 의해서 정의된다. 디지털 컴퓨터는 범용(general purpose)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마이크로 연산을 실행할 수 있으며 수행할 연산의 특수한 시퀀스를 명령할 수도 있다...
-
4.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연산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5. 12:50
목차 1. 레지스터 전송 언어 2. 레지스터 전송 3. 버스와 메모리 전송 4. 산술 마이크로 연산 5. 논리 마이크로 연산 6.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7. 산술 논리 시프트 장치 4.1 레지스터 전송 언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실행되는 동작을 마이크로 연산(micro-operation)이라고 하며, 이것은 하나의 클럭 펄스 동안에 실행되는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예를들어 시프트(shift), 카운트(count), 클리어(clear), 로드(load)등이 있다. 디지털 컴퓨터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하여 1. 레지스터의 종류와 그 기능 2. 레지스터에 저장된 이진 정보를 가지고 수행되는 일련의 마이크로 연산들 3. 일련의 마이크로 연산을 시작시키는 제어 기능 등을 규정해야 하는데 레지스터간의 마이크..
-
3. 데이터의 표현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3. 20:47
목차 1. 데이터의 종류 2. 보수 3. 고정 소숫점 표현 4. 부동 소숫점 표현 5. 기타 이진코드 6. 에러 검출코드 3.1 데이터의 종류 이 장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열하고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컴퓨터 레지스터에 쓰이기 위하여 이진 코드로 어떻게 표시되는가를 알려준다. 데이터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술 연산에 쓰이는 숫자 2. 데이터 처리에 쓰이는 영문자 3. 특수 목적에 쓰이는 기호 이들 데이터들은 이진수의 형태로서 컴퓨터 레지스터에 들어가야 한다. 이진법은 디지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자연스러운 진법이다. 그러나 때로는 다른 진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때가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이 산술 연산할 때 사용하는 십진수의 진법이 편리할 때도 있다. 8진수, ..
-
2. 디지털 부속품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3. 16:05
목차 1. 집적 회로 2. 디코더 3. 멀티플렉서 4. 레지스터 5. 시프트 레지스터 6. 이진 카운터 7. 메모리 장치 2.1 집적 회로 집적 회로(IC)는 디지털 게이트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는 실리콘 반도체 (chip)이다. 칩 안의 많은 게이트들은 회로의 요구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핀으로의 연결도 갖고 있다. 핀의 갯수는 칩의 크기에 따라 14개에서 100개 이상까지 다양하며, 칩 위의 숫자로 각 IC의 종류를 구별한다. 소규모 집적 장치는 10개 이하의 독립적인 게이트가 하나의 칩에 들어 있고, 게이트의 입출력이 곧바로 외부 핀으로 연결 된다. 중규모 집적 장치는 10에서 200개 까지 게이트를 집적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디코더나 가산기, 그리고 레지스터같은 기본적인 디지털..
-
1. 디지털 논리 회로전공공부/컴퓨터시스템구조 2020. 3. 23. 12:15
목차 1. 디지털 컴퓨터 2. 논리 게이트 3. 불대수 4. 맵의 간소화 5. 조합 회로 6. 플립플롭 7. 순차 회로 1.1 디지털 컴퓨터 디지털 컴퓨터는 여러 가지 계산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이며 0과 1의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는 이진수 시스템이다. 하나의 이진 숫자를 비트(bit)라고 부르며, 디지털 컴퓨터에서의 정보는 비트들의 그룹으로 표현된다. 다양한 코딩 기법을 통해 비트 그룹은 이진수 뿐만 아니라 십진수나 영문자 등을 표현하며, 컴퓨터에서의 완전한 명령어 집합을 나타낼 수도 있다. 컴퓨터는 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하드웨어 컴퓨터의 모든 전자 부품과 주변장치를 구성하는 전자기적 부품들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다양한 정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