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11. TCP와 UDP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8. 19:57
목차 1. TCP의 특성과 스트림 전송 2. TCP 세그먼트 형식과 기능 3. 흐름제어 기법 4. 오류제어 기법 5. 혼잡제어 기법 6.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11.1 TCP의 특성과 스트림 전송 11.1.1 TCP와 스트림 전송 TCP/IP 네트워크 모델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OSI 참조모델의 수송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TCP는 네트워크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위치한 수송계층 관련 프로토콜이다. TCP나 UDP는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프로세스는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정도로 생각하면됨) 종단간(end to end)의 흐름제어 및 오류제어 등의 기능을 통해 데이터..
-
10. IP 패킷 전송과 성능분석 기법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8. 12:27
목차 1. IP 패킷 전방위 전송기법 2. 네트워크 성능과 큐잉모델 3. 큐잉분석과 네트워크 설계 10.1 IP 패킷 전방위 전송기법 10.1.1 패킷 전달 서비스 네트워크 계층: 전송 측에서 목적지까지 패킷(데이터그램)이 거쳐가는데 이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routing)'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패킷의 전달이 중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물리적 네트워크에 의한 패킷의 처리 과정을 감독한다고 보면 된다. 패킷을 전달하는 방법은 직접 전달방식, 간접 전달방식으로 나뉜다. 직접 전달방식: 패킷의 전송측과 최종 목적지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을경우 라우터를 거칠 필요 없이 직접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간접 전달방식: 패킷의 전송 측 호스트가 최종 목적지 호스트와 다른 네트..
-
9.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주소체계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8. 00:18
목차 1. IP 패킷 구성과 기능 2. IP (IPv4) 주소 체계 3. IP 주소의 클래스 4. 서브넷 기법 9.1 IP 패킷 구성과 기능 IP(Internet Protocol)란? - IP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들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해짐 - IP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9.1.1 IP 데이터그램의 형식과 기능 - IP에서 사용하는 패킷을 ‘데이터그램 (datagram)’이라 함 - IP datagram은 헤더 부분과 사용자 데이터 부분으로 구분 됨 à [그림9-2] - IP datagram의 길이는 가변적이고, 기본 헤더의 크기는 20바이트이며, 옵션 영역을 사용하면 최대 60바이트까지 확장가능 9.2 IP(IPv4) 주소체계 9.2.1 IP 주소의 표현 ..
-
8. 인터넷과 IPv6 프로토콜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7. 14:03
목차 1. 인터넷의 개요 및 현황 2. 인터넷 서비스의 유형 3. 차세대 인터넷과 IPv6 프로토콜 8.1 IP 인터넷의 개요 및 현황 8.1.1 인터넷의 역사 ARPANET : 군납업체, 관련기관 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 초기에 NCP(Network Control Program)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다가 -> TCP/IP를 공식적으로 채택 각각의 수많은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었고, 오늘날의 인터넷으로 발전됨 TCP/IP 프로토콜: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본 프로토콜로 가정과 대학 캠퍼스, 학교, 기업, 그리고 정부 연구기관 등이 서로 연결된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반 형성 8.1.2 인터넷의 발전 현재 세계 220여 개 국에 10억 대 이상의 호스..
-
7. 멀티미디어와 ATM 전송기술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6. 15:43
목차 1. 멀티미디어 정보 2. ATM 원리와 특성 3. ATM 프로토콜 구조 4. ATM 서비스 범주 7.1 멀티미디어 정보와 ATM 7.1.1 멀티미디어 정보 멀티 미디어 정보는 음성, 영상, 이미지, 그래픽 텍스트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일컫는 포괄적인 의미 7.1.2 멀티미디어의 구분 연속적 미디어: 오디오, 비디오 정보처럼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갖는 미디어 이산적 미디어: 시간에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 텍스트, 정지 이미지, 그래픽 정보 등의 미디어 7.1.3 멀티미디어 정보서비스의 조건 - 실효 전송속도를 유지하면서(고속성) 네트워크 시스템의 확장이 가능해야 하고 (확장성), 각 네트워크에 대한 가변적 전송속도를 처리하고(유연성), 멀티미디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
-
6. 이더넷과 LAN 프로토콜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6. 13:35
목차 1. LAN 프로토콜과 그 특성 2. IEEE 802.3 LAN 프로토콜 3. 고속 이더넷 기술 6.1 LAN 프로토콜과 그 특성 6.1.1 LAN 프로토콜 구조 LAN(Local Area Network)이란? - 하나의 빌딩이나 대학 캠퍼스 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personal computer, 서버, 프린터, 라우터, 워크스테이션 등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 거리에 제한을 둠으로써 비교적 높은 데이터 전송률 제공이 가능해짐 - 널리 알려져 있는 LAN 프로토콜에는 이더넷 표준인 IEEE 802.3 CSMA/CD 이외에도, IEEE 802.5 토큰 링 표준, IEEE 802.4 토큰버스 표준 등이 있음 IEEE 802 LAN 표준의 계층구조 - 물리PHY 계층 : 전기, 기계적..
-
5.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기법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5. 18:38
목차 1.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프로토콜 2. 거리벡터와 링크상태 알고리즘 3. 여러 가지 라우팅 프로토콜 4. OSPF 프로토콜 5. RIP와 RIPv2 프로토콜 5.1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전송 측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 패킷이 거쳐가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배정하는 기능 -> '라우팅(routing)' 기능 종단간 패킷 전송을 취급한다는 점에서 데이터링크 계층과 구분, 정적,동적,디폴트 라우팅 기법이 있음 라우터 (router) -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패킷을 중계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한다. -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 -> 네트워크주소 (목적지 주소), 메트릭(목적지까지의 소요비용), 다음 라우터 혹은 다..
-
4. 데이터링크와 전송제어 기법전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0. 2. 25. 11:52
목차 1. 데이터링크와 회선제어 2. 흐름제어 기법 3. 오류제어 기법 4. 대표적인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4.1 데이터링크와 회선제어 데이터링크(data link)란? 데이터링크 제어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회선(line) 단방향 전송: 링크에서의 데이터 흐름이 한쪽 방향만 허용되는 경우 양방향 링크: 양방향으로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링크 - 반이중 전송 링크: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 전송이 허용되지 않음 - 전이중 전송 링크: 양방향으로 동시전송이 허용 회선 규칙 (line discioline): - 반이중 전송 링크에서 두 개의 스테이션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 간의 충돌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규칙 * 데이터링크 계층-> 회선제어, 흐름제어, 오류..